티스토리 뷰
추석 상차림의 정석! 헷갈리지 않는 추석 차례상 차리는 법
해마다 차리게 되는 차례상은 지역이나 가정에 따라 차리는 법이 다르기 때문에 헷갈리기 쉬워요.
요즘은 이전보다 많이 간소화되고 피자나 치킨을 올려놓는 등 서구화되었지만, 조상님들에게 올리는 만큼 여전히 전통 방식을 꾸준히 지켜나가시려는 분들이 많죠.
특히 첫 명절을 맞이하는 초보 새댁들의 경우, 복잡한 차례상 차리는 법 때문에 많이 헤매실 텐데요~
각 집마다 다른 가풍이 있겠지만 오늘은 PN풍년에서 기본적인 추석 차례상 차리는 법과 추석 차례상 주의사항을 한꺼번에 알려드리겠습니다!
차례상의 기본 5열 7원칙만 기억하세요.
차례상은 명절에만 지내는 만큼, 일반적인 제사상과는 달라요.
평소 제사상에는 올리지 않던 떡국이나 송편 등 각 명절을 대표하는 음식이 올라가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죠~
차례상과 제사상은 모두 총 5열로 놓는데, 열마다 홀수로 놓는 것이 원칙이에요.
병풍이나 신위와 가까운 쪽이 1열, 제주(제사를 모시는 장손)가 선 쪽과 가까운 쪽이 5열이 되죠.
추석 차례상 차례 음식 차리는 법 7원칙
1열 시접거중
시접을 상의 가장 가운데에 놓고, 잔대와 송편을 놓아주세요.
추석 차례상에서는 송편으로 대체하는데, 젯매(밥)도 함께 올리는 집들도 있다고 해요.
2열 어동육서, 동두서미
2열에는 전을 올리는데 왼쪽부터 육적(고기 구운 것), 소적(채소 구운 것), 어적(생선 구운 것), 고물 떡 순으로 놓아요.
생선을 놓으실 때는 두동미서에 따라 생선 머리가 동쪽, 꼬리가 서쪽으로 향하게 놓아야 합니다.
3열 어동육서
3열에는 탕 종류를 놓는데, 2열과 마찬가지로 어동육서 원칙에 따라 육탕, 소탕, 어탕을 놓고, 탕의 개수는 1, 3, 5, 홀수로 놓아야 해요.
4열 좌포우혜
좌측 첫 번째에는 포를 올리는데, 포는 북어, 고기, 오징어, 문어 중 한 가지를 말린 포를 놓아요.
이어서 삼색나물, 청장(간장), 침채(흰 나박김치), 식혜를 놓습니다.
이때 나박김치에는 고춧가루를 넣지 않는 게 기본이에요.
4열에는 생동숙서가 함께 적용되는데, 날 것이 동쪽, 익힌 나물이 서쪽에 위치한다는 걸 기억하세요~
5열 조율이시, 홍동백서
마지막 열에는 과일을 올리는데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곶감 순으로 놓아요. 이는 붉은 과일은 동쪽, 흰색 과일은 서쪽에 올리는 홍동백서에 따른 것이에요.
과일 옆으로는 약과나 한과와 같은 과자류를 올리고, 차례상 앞에 향로와 향합, 모삿그릇, 강신잔, 제주, 퇴줏그릇을 준비하면 차례상 차리기가 끝이 난답니다.
차례상 차릴 때 주의사항
차례상을 올릴 땐 몇 가지 주의사항이 있으니 올리시기 전에 확인하고 올려보세요~
1. 개수는 홀수에 맞춘다.(사과 5개, 탕 3가지 등)
2. 과일의 위아래를 깎아 반듯하게 설 수 있도록 한다.
3. 차례상을 차릴 땐 시접과 잔반을 먼저 올린다.
4. 향로와 향은 차례상 앞에 마련한 작은 상 위에 올린다.
5. 퇴주잔은 상 아래에 위치한다.
6. 복숭아나 치로 끝나는 생선(꽁치, 갈치, 삼치 등)은 사용하지 않으며, 잉어와 같이 비늘이 있는 생선이나 임연수와 같이 비늘 없는 생선(비린내가 강함)은 올리지 않는다.
7. 차례 음식에 고춧가루나 마늘 양념을 사용하지 않는다.
8. 국물 있는 음식은 건더기만 쓰고, 귀신을 물리친다는 붉은 팥 대신 흰 고물을 쓴다.
추석 차례 음식은 잘 살펴보면 제철 재료를 사용해 영양이 풍부하고, 5가지 주요 영양소를 고루 섭취할 수 있는 우리 조상의 지혜를 엿볼 수 있어요.
번거롭긴 하지만 온 가족이 모처럼 함께 모이는 즐거운 명절에 맛있는 추석 음식 준비하셔서 행복한 추석 연휴 보내시길 바랍니다^^!
출처 : http://naver.me/5tVXbqpz